Prepare for Disast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Prepare for Disast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96)
    • 재난 (192)
      • 재난대비 (40)
      • 생존과 생활 (16)
      • 해외댓글 및 정보 (83)
      • 코로나19(COVID-19) (52)
    • 게임 (101)
      • 테라리아 (13)
      • 닌텐도 (69)
      • 그외 (19)
    • 메이플스토리 (64)
      • 메이플 스킬트리 (25)
      • 이벤트&소식 (39)
    • 관심분야 (74)
      • PC 프로그램 팁 (37)
      • 노벨AI (9)
      • 심리 (28)
    • 역사 (33)
      • 고려사 (4)
      • 기타 (29)
    • 아카이빙 (295)
      • gif (130)
      • 정보 (121)
      • 소식 (43)
    • 그외 (35)
      • 음악 (16)
      • 코인 (5)
      • 꿈해몽 (6)

검색 레이어

Prepare for Disast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관심분야

  • ENFP, EN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Christmas Tree)

    2022.08.23 by 덱스트

  • ESFP, ES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tennis hop)

    2022.08.23 by 덱스트

  • ENTJ, EST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2022.08.23 by 덱스트

  • ENFJ, ESF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2022.08.23 by 덱스트

  • 사람의 뇌는 부정의 개념을 이해 못한다

    2022.02.03 by 덱스트

  • 아론 벡(Beck)의 인지적 오류 10가지

    2021.12.26 by 덱스트

  • '필링 굿'이 알려준 우울증 인지치료 방법, 인지왜곡 10가지

    2021.12.26 by 덱스트

  • 층간소음 가해자 참교육 방법과 리스크, 보복, 복수 관련 판례 등

    2021.10.15 by 덱스트

ENFP, EN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Christmas Tree)

​ ​ ​ ​ ​ 그림 2. Christmas tree 상태의 자극상태(좌측) ​ ​ ​ 특징적인 뇌기능이 존재하는 유형이다. ​ 모든 유형은 전체 뇌를 동기화하여 전체적인 뇌 사용을 하는 상황이 있다. 이는 "전문적인"상황에서 나타나는데, 뇌 전체의 자극상태가 비슷하게 나타나며 일치된 결론을 위해 움직인다. ​ ENFP와 ENTP의 경우는 반대로, 외부 자극이 있을 때마다 모든 뇌를 순식간에 사용하며 이 때 자극은 제각각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브레인스토밍"적 생각을 하게 되며 이는 이들의 Ne적 요소와 일치한다. ​ ​ ​ ​ 구분을 위해서 반응의 색을 달리 해 보자. ​ 뇌자극을 청-녹-황-적 순으로 나타내면, 일반적 유형이 전문적 상황에 대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식의 뇌 반응을 ..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3

ESFP, ES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tennis hop)

​ ​ ​ ​ 그림 2. Tennis hop 상태의 자극상태(우측) ​ 특징적인 뇌기능이 존재하는 유형이다. ​ Se 사용자들은 보통의 조용한 상황에서도, 모든 부분이 "저전력"모드처럼 유지된다. 이는 마치 테니스 선수가 빠른 반응을 위해 제자리에서 살짝 뛰며 대기중인 상태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Tennis-Hop) 이들은 위기적 상황에서 순식간에 반응하며 이러한 반응속도를 낮은 에너지로 유지한다. 자극이 다양할 때 이들의 뇌는 효율적이다. 반면 이들은 일반적인 상황에 있을 때 다른 유형은 쓰지 않는 에너지를 "저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 ​ ​ ​ 1. ESFP ​ ​ ​ ​ 1. Fp2를 사용하는 유형이다. ESFP는 Fp1 : Fp2 를 48:52 로 사용한다. 판단 이전에 정..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2

ENTJ, EST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 ​ ​ ​ ​ 1. ENTJ ​ ​ 1. Fp1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 중 하나다. ENTJ는 Fp1 : Fp2 를 63:37로 사용한다. (ENFJ와 공동 2위) 목표 지향적이고 의사 결정자인 것이 나타난다. 부정적인 정보를 쉽게 거르고 만족한다. 계속되는 도전에서 에너지를 유지하는 이유이다. ​ 2. 반대로 Fp2를 낮게 사용하는 유형이다. Fp2는 우울함을 감수, 충동을 억제하며 자아와 감각을 분석한다. 이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ENTJ일수록 갑작스러운 격렬한 분노 표출이 생길 수 있다. Te-Ni의 사용은 Fp2 구역에 의존하므로 이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Se-Te 루프 상태의 ENTJ는 자기 통제력 저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3. F8-T4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다. F8은 ..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0

ENFJ, ESF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 ​ ​ ​ ​ 1. ENFJ ​ 1. Fp1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 중 하나다. ENFJ는 Fp1 : Fp2 를 63:37로 사용한다. 목표 지향적이고 의사 결정자인 것이 나타난다. 부정적인 정보를 쉽게 거르고 만족한다. ​ 2. 반대로 Fp2를 낮게 사용하는 유형이다. Fp2는 우울함을 감수, 충동을 억제하며 자아와 감각을 분석한다. 이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ENFJ일수록 갑작스러운 격렬한 분노 표출이 생길 수 있다. Fe-Ni의 사용은 Fp2 구역에 의존하므로 이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Se-Fe 루프 상태의 ENFJ는 자기 통제력 저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3. T3-T5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다. 논리적 언어 이해, 단어인식, 청각처리와 사회적 피드백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 이들..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28

사람의 뇌는 부정의 개념을 이해 못한다

Simon Sinek, 동기부여 관련 강연하는 사람. 두뇌의 호르몬이라거나 작동원리를 기준으로 동기부여랑 엮어서 강연함

관심분야/심리 2022. 2. 3. 13:08

아론 벡(Beck)의 인지적 오류 10가지

벡(Beck)의 인지적 오류 10가지 1. 이분법적 사고(Dichotomous Thinking) : 모든 경험을 한두 개의 범주로만 이해하고 중간지대가 없이 흑백논리로써 현실을 파악한다. (완벽하지 않은 것은 곧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2. 극대화와 극소화(Magnification/Minimization) : 어떤 사건 또는 한 개인이나 경험이 가진 특성의 한 측면을 그것이 실제로 가진 중요성과 무관하게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한다. (어떤 학생이 한두 번 지각했다고 해서 그 학생이 게으르다고 판단하는 경우 혹은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한 사람이 단지 운이 좋아서 좋은 결과에 이르렀다고 보는 경우) 3. 과도한 일반화(Overgeneralization) : 한두 가지의 고립된 사건에 근거해서 일반적인..

관심분야/심리 2021. 12. 26. 17:05

'필링 굿'이 알려준 우울증 인지치료 방법, 인지왜곡 10가지

'필링 굿'의 저자에 따르면 우울증의 원인은 열 가지 인지왜곡입니다. 우선 나열해놓고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분법 사고 지나친 일반화 정신적 여과 긍정적인 것 인정하지 않기 지나친 비약 과소평가 감정적 추론 '해야 한다.'식 사고 낙인찍기 개인화 이 열가지에 해당하는 사고오류가 일어났을 때, 무엇인지 찾아내고 스스로 반박하는 게 비관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항상 이딴 식이야. 재수가 없어.' 라고 생각했다면 이건 '지나친 일반화'이기 때문에, 여기서 스스로 논리적 반박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아. 내 인생엔 좋은 일도 많이 있었어.' 이 방법이 실제 인지왜곡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잘 찾기 위하여 열 가지 인지왜곡에 대해 정리해두려 합니다. 1. 이..

관심분야/심리 2021. 12. 26. 17:02

층간소음 가해자 참교육 방법과 리스크, 보복, 복수 관련 판례 등

※이 글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이어집니다. 우리는 이제 층간소음에는 참지 않고 즉시 보복, 항의를 해야만 우리의 소중한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안 그러면 호르몬 각성 상태의 지속으로 반드시 불면, 두통, 무기력 등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큰 병에까지 이어질 거라는 것도 압니다. 귀트임은 신체의 스트레스 각성 반응인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적절하게 공격해서 해소해야 된다는 것도요. 지난글 https://easygoingway.tistory.com/590 층간소음은 왜 사람을 점점 더 예민하게 만들까? 귀트임 없애는 법 최근 저희 윗집에 대형견을 키우는 한 남성이 새로 이사왔습니다. 그뒤로 저는 귀가 트이는 게 뭔지 알게 되었습니다. 낮밤을 가리지 않고 불규칙하..

관심분야/심리 2021. 10. 15. 12: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TISTORY
Prepare for Disaste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