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e for Disast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Prepare for Disast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96)
    • 재난 (192)
      • 재난대비 (40)
      • 생존과 생활 (16)
      • 해외댓글 및 정보 (83)
      • 코로나19(COVID-19) (52)
    • 게임 (101)
      • 테라리아 (13)
      • 닌텐도 (69)
      • 그외 (19)
    • 메이플스토리 (64)
      • 메이플 스킬트리 (25)
      • 이벤트&소식 (39)
    • 관심분야 (74)
      • PC 프로그램 팁 (37)
      • 노벨AI (9)
      • 심리 (28)
    • 역사 (33)
      • 고려사 (4)
      • 기타 (29)
    • 아카이빙 (295)
      • gif (130)
      • 정보 (121)
      • 소식 (43)
    • 그외 (35)
      • 음악 (16)
      • 코인 (5)
      • 꿈해몽 (6)

검색 레이어

Prepare for Disast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관심분야/심리

  • 감정의 조절과 억제(suppression)

    2024.03.13 by 덱스트

  • 원래 ENFP인데 ISTP, INFP, INTP으로 변했을 때 (mbti결과 바뀜+바뀐 이유)

    2022.12.23 by 덱스트

  • INFP의 두가지 위장, ISTP, ENTP (mbti결과 바뀜+바뀐 이유)

    2022.10.23 by 덱스트

  • ENFP, EN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Christmas Tree)

    2022.08.23 by 덱스트

  • ESFP, ES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tennis hop)

    2022.08.23 by 덱스트

  • ENTJ, EST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2022.08.23 by 덱스트

  • ENFJ, ESF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2022.08.23 by 덱스트

  • 사람의 뇌는 부정의 개념을 이해 못한다

    2022.02.03 by 덱스트

감정의 조절과 억제(suppression)

누군가와 함께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조절해야만 합니다. 공공장소에서, 직장 상사 앞에서, 부모님 앞에서, 연인 앞에서,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출하기만 하는 사람은 외톨이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어쩔 수 없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 수 있을까요? 감정을 꾹 잘 참는 사람이 감정을 잘 조절하는 것일까요? 감정을 잘 조절한다는 것은 감정을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사람인 것일까요? 로봇처럼 행동할 수 있어야만 감정을 잘 조절하는 사람이 되는 것일까요?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지 않고 참는 것을 감정의 ‘억압’ 혹은 ‘억제’라고 합니다. 억제(suppression)는 감정이 표출되는 여러 단계 중 마지막 단계를 조절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평가(appraisal..

관심분야/심리 2024. 3. 13. 00:17

원래 ENFP인데 ISTP, INFP, INTP으로 변했을 때 (mbti결과 바뀜+바뀐 이유)

ENFP안에서 가장 흔한 타입을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ENFP E, N, F, P 네 가지 모두 높은 점수를 기록하는, NF, NP성향이 모두 강하고 외향성도 강한 경우 (에너지 소모가 높고 전 감각을 동시에 사용한다.) 2. INFP-ENFP 쉽게 INFP성향과의 스위치가 일어나는 경우 내외향의 전환이 쉽게 일어나고 자극에 피로도가 있는 타입. (보다 주관적이고 외부에 다소 저항적이다.) 3. ENTP-ENFP ENTP성향과 스위치가 쉽게 일어나는 경우. 뇌의 반응 형태가 비슷한 Ne유저들로 반응형태가 비슷해서 브레인스토밍적적 생각을 하며 자극 반응도 비슷하여 가장 쉽게 스위치된다. (대부분 ENTP인데 ENFP로 위장하고 있다.) ENTP내에서도 수가 많고 ENFP내에서도 수가 많아서 ENF..

관심분야/심리 2022. 12. 23. 17:06

INFP의 두가지 위장, ISTP, ENTP (mbti결과 바뀜+바뀐 이유)

INFP가 뇌기능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부위 Fp1 explain & decide 설명/결정 T3 Precise Speaker 청각-단어 F8 Persnal value 개인적 가치 T4 Intutive Listener 음성 높낮이 INFP는 사고 과정에서 내부적인 것, 즉 개인적 가치에 따른 판단을 우선으로 한다. 주기능이 Fi, 즉 주관적 판단으로 주관에 의해 판단하고 부기능 Ne, 즉 발산되는 직관 상상력을 통해 타인의 마음을 읽으려 한다. 주기능은 호흡처럼 익숙한 나 자신 그자체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INFP는 항상 내적으로 감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으며 그가 이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외향직관인 것이다. INFP의 약점 Se:7기능으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 Ti:8기능의 미숙으로 정확하게 비판하..

관심분야/심리 2022. 10. 23. 20:33

ENFP, EN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Christmas Tree)

​ ​ ​ ​ ​ 그림 2. Christmas tree 상태의 자극상태(좌측) ​ ​ ​ 특징적인 뇌기능이 존재하는 유형이다. ​ 모든 유형은 전체 뇌를 동기화하여 전체적인 뇌 사용을 하는 상황이 있다. 이는 "전문적인"상황에서 나타나는데, 뇌 전체의 자극상태가 비슷하게 나타나며 일치된 결론을 위해 움직인다. ​ ENFP와 ENTP의 경우는 반대로, 외부 자극이 있을 때마다 모든 뇌를 순식간에 사용하며 이 때 자극은 제각각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브레인스토밍"적 생각을 하게 되며 이는 이들의 Ne적 요소와 일치한다. ​ ​ ​ ​ 구분을 위해서 반응의 색을 달리 해 보자. ​ 뇌자극을 청-녹-황-적 순으로 나타내면, 일반적 유형이 전문적 상황에 대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식의 뇌 반응을 ..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3

ESFP, ESTP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tennis hop)

​ ​ ​ ​ 그림 2. Tennis hop 상태의 자극상태(우측) ​ 특징적인 뇌기능이 존재하는 유형이다. ​ Se 사용자들은 보통의 조용한 상황에서도, 모든 부분이 "저전력"모드처럼 유지된다. 이는 마치 테니스 선수가 빠른 반응을 위해 제자리에서 살짝 뛰며 대기중인 상태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Tennis-Hop) 이들은 위기적 상황에서 순식간에 반응하며 이러한 반응속도를 낮은 에너지로 유지한다. 자극이 다양할 때 이들의 뇌는 효율적이다. 반면 이들은 일반적인 상황에 있을 때 다른 유형은 쓰지 않는 에너지를 "저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 ​ ​ ​ 1. ESFP ​ ​ ​ ​ 1. Fp2를 사용하는 유형이다. ESFP는 Fp1 : Fp2 를 48:52 로 사용한다. 판단 이전에 정..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2

ENTJ, EST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 ​ ​ ​ ​ 1. ENTJ ​ ​ 1. Fp1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 중 하나다. ENTJ는 Fp1 : Fp2 를 63:37로 사용한다. (ENFJ와 공동 2위) 목표 지향적이고 의사 결정자인 것이 나타난다. 부정적인 정보를 쉽게 거르고 만족한다. 계속되는 도전에서 에너지를 유지하는 이유이다. ​ 2. 반대로 Fp2를 낮게 사용하는 유형이다. Fp2는 우울함을 감수, 충동을 억제하며 자아와 감각을 분석한다. 이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ENTJ일수록 갑작스러운 격렬한 분노 표출이 생길 수 있다. Te-Ni의 사용은 Fp2 구역에 의존하므로 이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Se-Te 루프 상태의 ENTJ는 자기 통제력 저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3. F8-T4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다. F8은 ..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30

ENFJ, ESFJ의 뇌 활성 영역과 활성 기능

​ ​ ​ ​ ​ 1. ENFJ ​ 1. Fp1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 중 하나다. ENFJ는 Fp1 : Fp2 를 63:37로 사용한다. 목표 지향적이고 의사 결정자인 것이 나타난다. 부정적인 정보를 쉽게 거르고 만족한다. ​ 2. 반대로 Fp2를 낮게 사용하는 유형이다. Fp2는 우울함을 감수, 충동을 억제하며 자아와 감각을 분석한다. 이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ENFJ일수록 갑작스러운 격렬한 분노 표출이 생길 수 있다. Fe-Ni의 사용은 Fp2 구역에 의존하므로 이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Se-Fe 루프 상태의 ENFJ는 자기 통제력 저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3. T3-T5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다. 논리적 언어 이해, 단어인식, 청각처리와 사회적 피드백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 이들..

관심분야/심리 2022. 8. 23. 00:28

사람의 뇌는 부정의 개념을 이해 못한다

Simon Sinek, 동기부여 관련 강연하는 사람. 두뇌의 호르몬이라거나 작동원리를 기준으로 동기부여랑 엮어서 강연함

관심분야/심리 2022. 2. 3. 13:0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Prepare for Disaste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